천문학은 동양과 서양 모두에서 가장 초기의 연구 중 하나로, 하늘에 대한 인간의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농업과 일기예보는 물론 해양, 지리적 관측과 측량 등이 주요 원인이다. 일부 지역에는 스톤헨지처럼 천문학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기념물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러한 관측소는 의식 등의 종교적인 목적 외에 매년 일정한 시기에 농사와 수확을 위해 하늘을 관찰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 높은 빌딩의 눈으로 천문 관측을 했다. 문명의 발달에 맞춰 특히 메소포타미아, 중국, 이집트, 그리스, 인도, 마야 문명 등지에 천문관측소가 생겨났고, 우주의 본성에 대한 탐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천문학에서는 오늘날 점성술로 알려진 대부분 시간이 하날의 별과 행성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관찰로부터 행성 운동, 태양, 달, 그리고 지구의 자연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당시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며 태양과 달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믿어져
ㅆ다. 이것을 지구 중심, 천체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모델이라고 한다.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바빌론에서 수학과 과학 천문학이 시작된 것이다. 예를 들어,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월식이 사로서의 순환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그 후 다른 문명에서 발달한 천문학적 전통의 기초를 닦았다.

 

바빌론 이후의 천문학의 중요한 발전은 고대 그리스에서 이루어졌다. 그리스 천문학은 천문학 현상에 대한 합리적이고 물리적인 해답을 찾으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졌다. 기원전 3세기에 그리스 아리스 타르 쿠스는 지구의 크기를 계산하여 달과 태양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였다. 반면 지도학 이론을 처음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2세기에 히파르코스는 세차를 발견하고 달의 크기와 거리를 계산하여 아스트롤라베라는 천문 기를 발명하였다. 히 파르 쿠스 역시 1020개의 별로 이루어진 방대한 목록을 작성했으며, 북반구의 별자리 대부분은 이러한 그리스 천문학에 유래한다. 반면에 프톨레마이오스는 천체 운동 이론을 주장하여 당시 천문학 편집본이었던 "알마게스트"를 남겼다. 천체 운동 이론이 기독교 교리와 더욱 일치하기 때문에 중세에 접어든 이 책은 천문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받아들여져 코페르니쿠스가 등장할 때까지 널리 믿게 된다.

 

다른 자연과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중세 유럽에도 13세기까지 천문학은 거의 정체되어 있었지만, 이슬람 세계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9세기 초 이슬람권 최초의 전망대가 등장했다. 964년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나무껍질(아조피)이 안드로메다 은하를 발견하고 이를 '고정 성서'라는 책에 기술했다. 역사상 가장 밝은 초신성인 SN 1006은 이집트 아랍 천문학자 알리잔 리드완과 중국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모슬렘 세계에서 천문학에 상당한 공헌을 한 유명한 천문학자들은 알 바타니, 테 빗, 아조 피, 일부 바사르, 아르 빌리, 아르자 헬, 알 비를 잔디, 마라 그와 사마르칸트 천문대의 천문학자 등이다. 당시 아랍 천문학자들은 오늘날까지 널리 사용되는 많은 별 이름(예: 베가와 아르 골)을 채택하였다. 짐바브웨 대왕과 팀북투의 유적도 과거에 천문대를 포함한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 관측은 식민지 시대 이전에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도 행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의 탄생  (0) 2020.11.10
급팽창이론의 주요 모형  (0) 2020.11.10
급팽창이론의 동기와 전개  (0) 2020.11.10
싱크로트론 방사  (0) 2020.11.08
전파 천문학 역사  (0) 2020.11.08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storyWhaleSkin3.4">